이번 정부의 주요 청년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과 가입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상당히 괜찮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신청기간과 가입조건을 확인하시고 자격이 된다면 꼭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청년이 매월 일정금액을 저축하면 이에 대응하여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저축해 주는 계좌를 말합니다. 이번 정부의 핵심 청년 정책으로 그 혜택이 상당히 훌륭한 편이어서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당초 목적은 10년을 만기로 하여 최종적으로 1억을 저축하는 것이었지만 10년이라는 기간이 너무 길어 5년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최종 목표 저축금액 역시 5,000만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의 구체적인 신청기간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그동안 발표해 온 바에 따르면 올해 6월에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은 2023년 6월부터 2025년 12월까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3년 6월부터 접수를 받기 때문에 5월쯤에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에 관한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텐데요. 5월부터는 뉴스를 잘 챙겨보셔서 신청기간에 맞게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그렇다면 청년도약계좌 혜택은 무엇일까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자는 자신의 연 소득에 따라 일정금액을 매월 저축하게 됩니다. 그리고 정부는 가입자의 연 소득에 따라 일정 금액의 정부지원금을 함께 저축해 줍니다.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의 가입자는 월 30만 원을 저축하고 정부가 40만 원을 추가로 저축해 주기 때문에 월 70만 원이 저축됩니다.
연 소득이 3,600만 원에서 4,800만 원 사이인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매월 60만 원을 저축하고 정부는 10만 원을 지원하여 역시 매 월 70만 원이 저축됩니다. 이처럼 가입자와 정부 지원금을 합하여 70만 원을 목표로 저축하게 되며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의 연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금은 더 많아지게 됩니다.
정부지원금 외에 높은 이자 역시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입니다. 무려 6% 대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요. 정부의 지원금에 더하여 높은 이자까지 받을 수 있어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연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가입자는 5년 동안 총 1천8백만 원을 납입하게 되고 여기에 정부 지원금 2천4백만 원의 혜택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연령
청년도약계좌라는 사업의 이름에 맞게 청년에 해당하는 분들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청년이라 함은 19세에서 34세까지의 국민을 말합니다. 단 군 복무를 마친 사람은 해당 군 복무 기간만큼 연장됩니다. 즉 2년 동안 군 복무를 한 사람은 36세까지 가입 신청이 가능한 것입니다.
개인 소득
청년도약계좌는 연 소득이 6천만 원 이하인 청년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연 소득이 6천만 원을 넘어가는 청년들은 많지 않을 텐데요. 따라서 대부분의 청년들은 이 소득 기준은 충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소득구간별 정부지원금 표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소득구간별로 가입자 본인과 정부가 지원해 주는 금액이 다릅니다. 그런데 4,8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본인의 적립액만 나와있고 정부지원금은 없습니다. 이처럼 연 소득이 4,800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정부의 추가 지원금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면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이 있기 때문에 가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구 중위 소득
위에서 설명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본인의 소득 기준도 충족해야 하지만 가구 중위소득 역시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이 됩니다. 가구 중위 소득이란 국민들의 소득이 가장 많은 사람부터 가장 적은 사람까지 줄을 세웠을 때 그 중앙에 위치한 값을 말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이러한 가구 중위소득의 18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쉽게 말해서 청년의 소득도 고려하지만 청년이 속한 가구(부모님)의 소득도 확인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1인 가구 중위 소득의 180%는 약 370만 원인데요. 혼자 사는 청년의 경우 월 소득이 370만 원을 넘지 않으면 되는 것입니다. 3인 가구 중위소득의 180%는 약 8백만 원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본인의 월 소득이 50만 원인데, 함께 사는 부모님의 소득이 8백만 원이라면 가구 총소득이 850만 원이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렇게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과 혜택, 가입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위에서 확인하셨다시피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2023년 6월에 시행될 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조건만 되면 모두 가입할 수 있게 해 줄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대상이 되신다면 꼭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돈 되는 특급 정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