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나 집안 기일 등에는 가족들이 모여 제사를 지내는 것이 한국의 고유 풍습입니다. 이때 보통은 장남이 지방을 쓰게 됩니다. 지방은 제사를 지내는 대상을 적는 걸 말합니다. 차례나 제사 때 지방 쓰는 방법 알아봅니다.
지방 뜻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엔 상차림의 가장 안쪽에 모시는 분이 이름,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의 관계 등을 적습니다. 대부분은 장남이 지방을 적으며 부재 시 차남 등의 순으로 적습니다. 따라서 적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지방 쓰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차례 제사 지방 쓰는 방법
어렸을 때 어른들의 한자로 지방을 쓰는 걸 보면 어려워 보였습니다. 하지만 지방 쓰는 방법은 그 틀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순서대로 작성만 하면 됩니다. 지방은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의 순서로 적고 마지막 '신위'라고 적으면 됩니다.
1. 고인과의 관계
지방을 적는 사람과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와의 관계입니다. 아버지의 지방이라면 "현고(顯考)"라고 적고 어머니라면 "현비(顯妣)"라고 적습니다. 할아버지는 "현조고(祖考)", 할머니는 "현조비(顯祖妣)"이며 증조부는 "현증조고(顯曾祖考)", 증조모는 "현증조비(顯曾祖妣)"입니다.
남편 : 현벽(顯辟)
아내 : 망실(顯辟)
형은 : 현형(故室)
동생 : 망제(亡弟)
자식 : 망자(亡子)
2. 고인의 직위
관계를 적은 뒤 고인의 직위를 적습니다. 남자 조상이 벼슬의 직위에 있었던 경우 벼슬의 이름을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학생(學生)"이라고 적습니다. 그리고는 "부군(府君)"이라고 이어 적습니다.
여자 조상은 남편의 벼슬에 따라 적습니다. 나라에서 부여받은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 등을 적으며 남편이 벼슬이 없던 경우에는 "유인(孺人)"으로 적습니다.
3. 고인의 이름
그다음에는 고인의 이름을 적습니다. 고인이 이름은 본관과 성씨의 순으로 적습니다. 예로 덕수 이 씨, 김해 김 씨 등이 있습니다.
4. 신위(神位)
지방의 마지막 부분에는 "신위(神位)"라고 적습니다. 신위는 제사의 주인공이 위치하는 곳을 의미합니다. 지방을 두는 곳에 고인이 계시다는 뜻입니다.
5. 부모님 지방 쓰는 방법
아버지와 어머니 두 분을 동시에 모시는 경우에는 아버지를 왼쪽, 어머니를 오른쪽에 씁니다. 한 명만 적는 경우에는 가운데에 적습니다.
벼슬이 없던 김해 김 씨 아버지의 지방을 쓴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위의 순서에 따라 "현고학생김해김씨신위"라고 종이의 중앙에 세로로 적으면 되겠습니다.
차례 제사 시 지방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방을 쓰는 순서와 의미만 간단하게 알고 있으면 어렵지 않습니다. 한자가 어렵다면 굳이 한자로 쓰지 않아도 되니 부담을 가지실 필요도 없습니다. 형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조상에 감사하는 마음일 것 같습니다.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부모급여 수급자격 지원금액 신청방법
2022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신청대상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자격 혜택 방법
지자체 추석 재난지원금 지급 지역 확인
구직촉진수당 지원금액 신청대상 확인
댓글